선일기술산업선일기술산업


음향 실험실

무향실

Anechoic chamber 설계기준

○개요 : 실내부에 흡음재 (wedge) 를 부착, 실 내부 발생음에 대하여 자유음장 상태를
  유지 하는 실.

○용도 : 음원의 출력, 방사지향성 측정 및 각종 음원의   구조적 특성 분석 등.
  1) 완전무향실 : 각종 기기류의 음향 특성 연구.
  2) 반무향실 : 중량물 산업기기 소음측정.
  3) 조립식 무향실 : 해체이설 가능.
  4) 소형 무향상자 : 이동이 가능.

 

 

 - 무향실/반무향실의 자유음장 허용편차(KS A ISO 3745 기준).

1/3 OCT. BAND 중심주파수 (Hz)

완전무향실 허용편차 (dB)

반무향실 허용편차 (dB)

≦ 630
800~5,000
≧ 6,300

± 1.5
± 1.0
± 1.5

± 2.5
± 2.0
± 3.0

 - 무향실/반무향실의 체적 : 무향실의 체적은 측정대상(음원) 체적의 200배 이상.
 - 무향실의 흡음면의 흡움율은 관심대역 주파수 이상에서 0.99 이상.
 - 반무향실의 바닥면의 반사율은 관심대역 주파수 이상에서 0.06 이하
(잔향실 반사면과 동일)
 

잔향실

Reverberant Chamber 설계기준

○개요 : 실내부면을 반사재로 하여 실 내부 발생음이 실내 모든 부분에서 음압 분포가
  균일한 확산 음장 상태를 유지하고 일정 소요 잔향 시간을 유지하는 실.

○용도 : 재료의 흡음률, 투과 손실 및 음향 출력 측정등
   1) 1개의 잔향실 : 재료의 흡음률, 음향 출력 측정.
   2) 2개의 잔향실 : 재료의 투과 손실 측정.
   3) 층간 잔향실 : 바닥충격음 측정.


 - 잔향실의 형상 (KS F 2805 기준, ISO 354).

I max < 1.9 V 1/3    

  V : 잔향실 용적(m 3 )  :  최소 150m 3 , 200m 3 이상 권장

  I max  : 잔향실의 경계내에서 가장 긴거리( 사각형 방인 경우 대각선길이 (m) )

직육면체 잔향실의 권장 치수비

l y / l x

0.83       0.83       0.79       0.68       0.70

l z   / l x

0.47       0.65       0.63       0.42       0.59

 - 잔향실에서 최대 허용 음압분포 한계(KS A ISO 3741)

1/1 OCT. 중심주파수 (Hz)

1/3 OCT. 중심주파수 (Hz)

최대허용한계표준편차 (dB)

125
250, 500
1 000, 2 000
4 000, 8 000

100, 125, 160
200~630
800~2 500
3 150~10 000

1.5
1.0
0.5
1.0

 - KS F 2808 (KS F 2860) 기준 음향 투과손실 측정시 잔향실 (음원,수음) 용적은 50㎥이상 시료 개구부 10~20㎡
     (단변 의 최소 길이 : 2.3m이상)
.
 

시청실

○개요 : 실 내부음장 특성이 광대역에서 균일한 잔향시간을 나타내고
  각 주파수 대역에서 음의 재복사나 혼합변조가 없이 음압 분포가 평탄 
  균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실.

 

○용도 : 음향제품 및 가전제품의 음질 평가, 기준 음질의 개발, 제품의
  음향 특성 비교 등.

 

- 시청실 잔향시간 (IEC. STANDARD)

Frequency
(Hz)

Reverberation time (s)

Maximum

Minimum

125      
500      
4,000      
8,000      

0.4
0.3
0.3
0.2

0.3
0.6
0.6
0.6

   - 시청실 규격 (IEC. STANDARD)

Class

Height (m)

Depth (m)

Width (m)

Volume (㎥)

Floor area (㎡)

   Minimum
   Standard
   Maximum

      2.5
      2.75
      3.0

6.0
6.6
2.2

4.0
4.4
4.8

60       
80       
104       

24
29
35